사랑방

1. 말(언어, 국어)과 정신 : 日語 殘滓 淨化의 必要成(*외국어,외래어,언어폭력---)

시인답게 2011. 10. 31. 16:44

1. 말(언어, 국어)과 정신 : 日語 殘滓 淨化의 必要成(*외국어,외래어,언어폭력---)

1.1. 위당 선생 일화; 성춘향 孃과 이몽룡 군의 結婚식 <娘과 婚姻>
: 나라는 망해도 국어가 살아 있으면 그 민족은 영원하다
1.2. 男女, 父母, 兄弟姉妹 / 암수, 에미에비, 년놈
① 한자어 높이고 고유어 낮춤 ② 여자를 낮추고 남자를 높임
1.3. 作名所, 의사의 처방전(영어), 최근의 상품명(서구어)
1.4. 말이 씨가 된다, 천량빚을 갚는다.

2. 국어 순화의 입장에서 '일어 잔재'에 대한 상황 인식에 국한함
: "일어의 잔재가 사회 각 영역에 침투되어 있는 사정은 어떠한가 ?"

1) 일상 생활, 일상 대화에서 쓰이는 일어
2) 산업, 기술, 학술 분야에서 쓰이는 일어
3) 상호, 상품에서 쓰이는 일어
4) 언론 매체에서 쓰이는 일어

여기서, 3) - 4)의 경우는 대단한 영향력(예, [후지 필림])을 가지나, 정책적으로 교정이 가능하다. 그러나, 1)- 2)의 경우는 그 영향력을 크게 느끼지 못하는 만큼 작은 노력으로는 교정이 쉽지 않다. 그러므로, 8.15를 보다 뜻 깊게 상기하기 위해서는 1) - 2)에 특히 관심을 기우려야 할 것이다.

3. 일본어의 침투 略史
(직접으로는 1870 이후 약 100년간 계속되고 있음 ; 이것은 한일간의 문화 전승과 깊은 관계를 가지는 것임 : 즉 우리가 영향을 받는 입장)

3.1. 조선 시대(1876 이전)
① 조선 통신사 (신숙주:해동제국기1471, 강우성:첩해신어1676, --- )
② 담배, 고구마 ; 거의 현대국어에 불계승
# 다다미, 스끼야끼, 밀감, 만두, 당고, 선인장 ; 중단, 개화기 이후 재침투

3.2. 개화기 시대(1876-1910)
① 강화조약(1876) ; 수신사 김기수 日行 후, 김홍집, 박영효 등
② 일본식 한자어 침투가 다수(특히 개화 문물에 대한 어휘가 지배적임)
<< 같은 한자어 문화권이어서 일본 한자어의 침투는 오늘날에도 아무런 저항감이 없이 차용하고 있으며, 결국 우리 말로 착각하게끔 한다>>
③ - 的,
기선, 기차, 철도, 전신, 전선, 전보, 인력거, 신문(지), 증권, 회사, 상사, 인지, 부기, 경제, 은행, 병원, 우편국, 사범학교, 도서관, 수학, 화학, 철학, 사상, 개화, 지구, 태평양, 일요일, 의사당, 의원, 국회, 육법, 민권, 정당, 외교, 판사, 대통령, 합중국, 경찰관,

3.3. 식민지 시대(1910-1945)
① 1920년부터 고유 일본어 요소가 발음 그대로 국어 문장에 침투
; 특히 문학 작품에 아무 제한 없이 차용됨 <동경유학생, 개화인들>
② 1940년 이후, 일본어를 국어(창씨 개명)로 하면서 침투 절정에 이름.
; [조선어에 쓰이는 국어 어휘]<한글지> (국어 = 일본어)

3.4. 1945년 이후, 현재

(1) 세력이 약화되었으나, 내면적으로는 침투가 중지되거나 중지시킨 일은 없었다.
① 일본어 구사 인적 요소가 각계 각층에 잔존
② 특히 1965년 한일 국교 정상화 이후, 일어식 한자어가 계속 국어 한자어 자격으로 수용됨.
③ 1970년 이후, 일본어 학습자 증가
④ 1980년 전후, 일본 노래, 음식점, 백화점 상품 따위로 시청각적으로 침투됨.

(2) 몇 가지 특징으로 본 일어 잔재
① 일본에서 새로 만들어져 유행하는 특히 한자어가 정치,경제,학술,문화,산업,기술,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침투됨< 문명, 문화, 학술어>.
; 민주화, 반체제, 사건기자, 일조권, 혐연권, 잔업수당, 人災, 정보화사회, 내구소비재, 안내양, 과(잉)보호, 준준결승, 방어율, 자책점, 별책,

* 전통 국어 한자어를 몰아낸 일어식 한자어
; 美人(一色), 交際(相從), 約束(言約), 自白(吐說), 工事(役事), 請負(都給), 見本(看色), 現金(直錢), 利益(利文), 職業(生涯), 表紙(冊衣), 日曜日(空日),

② 고유 일본어의 직접 차용
; 오뎅, 사시미, 사라, 모찌, 아나고, 와리바시, 히야시/씨야시, 마호(병), 구두, 구루마, 노가데, 노깡, 시다, 시아게, 데모도, 후끼다시, 와꾸, 고데, 자부동, 다다미, 다라이/다라, 하꼬(방), 무뎁뽀, 와이당, 찌라시, 에리, 후까시, 소데나시,

③ 일본어를 거쳐온 중국어나 서양어
; 우동, 가방, 잉꼬, 장껜뽀, 단스, 라면, <중국어>
카스테라, 담배, 뎀뿌라, 빵, <폴루투칼어>
메리야쓰, <스페인어>
고무, 뺑끼, <네델란드어>
쓰봉, 부라자, 쎄무가죽, 낭만, <불어>
코펠, <독일어>
샤쓰, 와이샤쓰, 타올, 빠클, 빤쓰, 스빠나, 작끼, 빠꾸, 빵꾸, 뺀찌, 바께쓰, 삐라, 도나스, <영어>

④ 2차 대전 후, 일본에서 만든 번역어의 차용
; 냉전(cold war), 죽음의 재(sand of death), 압력 단체(pressure), 국민총생산(G.N.P), 聖火(Olympic torch), 미시적(micro),

⑤ 일본이 만든 그릇된 영어나, 의미가 달라진 어휘의 차용
; 나이터 (경기), 마카로니 웨스턴, CM탈렌트, 아프터 써비스, 후리 ***, 아베크, 레저, 가라오께(kara:빈 + 오케스트라)

⑥ 일본어를 거치는 동안 어형이 단축된 영어에서의 차용어
; 아파트, 테레비, 도란스, 미싱, ***, 마이크, 메모, 테러, 파마,

⑦ 혼종어인 일어의 차용
; 식빵, 돈까스, 야끼만두, 도꾸리샤쓰, 쎄라복, 가오마담, 전기다마,

⑧ 통사 층위의 관용적 비유의 차용
; 흥분의 도가니, 도토리 키재기, 새빨간 거짓말, 애교가 넘치다, 화를 풀다, 호감을 사다, 눈살을 찌뿌리다, 의기에 불타다, 콧대를 꺾다, 무릎을 치다, 손꼽아 기다리다, 종말을 고하다, 패색이 짙다, 낙인을 찍다, 마각을 들어내다, 종지부를 찍다, 폭력을 휘두르다, 비밀이 새다, 낯가죽이 두껍다, 손에 땀을 쥐다, 귀에 못이 박히다, 가슴에 손을 얹다, 순풍에 돛을 달다, 눈시울이 뜨거워지다, 욕심에 눈이 어두워지다, 이야기에 꽃이 피다,

⑨ 통사구조에 차이가 있는 일어식 구문 차용
; ---에 다름 아니다, --- 있을 수 있다, ---한/던 것이다, 보다 빠르게, 뿐만 아니라, <'보다, 뿐'이 문두에 오게 되었음>

⑩ 언어 의식에 영향을 받게 된 일어 잔재
; 4 (四) = 죽음(死) ; 개화기 이후에 생김.
18번 노래 ; 가부끼의 대본 18종에서 유래, 처음엔 교오껜(狂言)을 뜻하다가, 후에 일방 '장기'라는 뜻이 됨.

4. 국어 속의 일본어 문제
① 문장어와는 달리 구두어나 비속어에서는 아직도 엄청난 양의 고유 일본어 요소가 무심결에 쓰이고 있다.
② 일반어보다는 전문어, 직업어, 기술어 등에 지나치게 쓰인다.
③ 고유 일본어에 대한 번역 차용식 한자어 중에는 한자 조어법에 어긋나는 경우가 많아(家出/出家) 국어 한자음 체계에 혼란을 야기
④ 혼종어 중에는 일본어 요소가 포함되어 있어, 국어 어휘체계의 비속화를 부채질한다.
⑤ 관용적 비유 표현에는 일본어 요소가 지나치게 이용되고 있어, 국어 문체의 순수하고 참신한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⑥ [한자어를 우대하고, 고유어를 낮추었던 조선 시절]처럼, 일어의 남용이 자칫 문화적 열등의식으로까지 비화하여 주체성의 확립에 장애가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