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추> 정감있는 순수 우리말 정감있는 순수 우리말 꼭 살려 쓰고 싶은 우리말이에요 ! 물건 셀 때의 단위를 나타내는 우리말 모래, 흙에 관련되는 우리말 머리 모양과 관련되는 우리말 가축의 나이를 가리키는 순수한 우리말 '새나 짐승, 물고기의 어린 것'을 이르는 이름 농기구와 관련되는 우리말 논밭과 관련되는 우리말 '그릇'.. 창작방 2007.07.12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 윤성택 * 내 시에 진정 독특한 그 무엇이 있는가 * 하나의 문제를 중심축(통일성)으로 이미지를 전개하였는가 * 절실한 내용을 진실하게 이야기하고 있는가 * 관념 대신 인식을, 습관 대신 체험을 즉 관념의 서술에 치우치지 않았는가 * 정서에 비해 의식이 너무 앞서지 .. 창작방 2007.07.12
꽃말 사전 **꽃말 사전 꽃말 사전 → [ ㄱ ] 가지 - 진실 과꽃 - 변화, 추억 까치밥나무 - 풍요, 숨겨진사랑 꽈리 - 약함, 수줍음 갈대 - 친절, 신의, 지혜 꽃양배추 - 이익, 유익 감나무 - 경이, 자애, 소박 구기자 - 희생 개나리 - 희망 국화 - 성실, 정조, 고귀, 진실 강아지풀 - 동심, 노여움 군자란 - 고귀, 우아 개양귀비.. 창작방 2007.07.12
좋은 시 창작법 /비유(譬喩) 비유(譬喩) <시인 김철진> '프린스턴 시학 사전'에서는 비유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일정한 사물(事物)이나 개념(槪念)을 뜻하는 낱말을 이용하여 또 다른 대상이나 개념을 의미(意味)할 수 있도록 언어(言語)를 사용하는 과정, 또는 그 결과이다." 어떻습니까? 이해하시겠습.. 창작방 2007.07.12
[스크랩] 시 창작법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습관 번호 : 6 글쓴이 : 이동호 조회 : 478 스크랩 : 3 날짜 : 2004.06.15 11:57 "; str+=""; str+=""; document.write(str); ㅇ 좋은 시를 쓰려면 -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해서 써야 한다. - 적어진 글을 소리내어 읽으면서 문맥의 흐름을 다듬는다. - 우연한 기회에 스치는 영감을 메모해 두었다가 적당한 .. 창작방 2007.06.24
[스크랩] 도올 함성/김 훈과 인터뷰 오랜 벗인 두 사람은 만나면 항상 즐겁다. 개나리 핀 동숭동 낙산 옛 성터에서 파안대소하는 소설가 김훈과 기자 도올. 임진권 기자 '정치 리더쉽으로 양극화 해소 못한다' 세상을 살다 보면 별의별 희한한 일도 많다. 아마도 내 인생에서 나를 가장 많이 인터뷰한 기자가 있다면 김훈이라 해야 할 것이.. 창작방 2007.05.07
[스크랩] 고재종 시인이 말하는 좋은詩 고재종 시인이 말하는 좋은 시 범속한 사물과 일상 속에서 생의 의미를 들여다보고자 갈망하는 이들이야말로 시인이다. 시인의 삶의 절절한 체험이 상상력을 통한 시적 체험으로 올라서야 삶의 의미와 꿈을 담은 시가 된다. 그러므로 상상력을 잘 구사할 수 있게 하는 몇 가지 시적 전략이 중요하다. .. 창작방 2007.01.11
[스크랩] 신경림 시인이 말하는 좋은詩 신경림시인이 말하는 좋은 시 첫째, 현실의 삶이 뿌리 깊이 박힌 시가 좋은 시다. 둘째, 시로써 사람 사는 세상에 보다 나은 역할이 있어야 한다. 셋째, 우리의 좋은 것을 드러낼 수 있는 우리만의 목소리여야 한다. 우리 문화를 지키는 역할도 필요하다. 넷째, 남이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만지지 못.. 창작방 2007.01.11
[스크랩] 강의 32 : 첫 행은 시의 구조와 성패까지 결정함을 알아 두자 c 강의 32 첫 행은 시의 구조와 성패까지 결정함을 알아 두자 시를 쓸 때 시작하는 첫 행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첫 행이 좋으면 시의 절반은 성공이다. 이 말은 반대로 첫 행의 실패는 절반의 실패가 된다. 시가 절반이나 실패했으면 그것은 결국 시 창작 전체의 실패로 귀결한다. .. 창작방 2006.10.27